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 부자 되는길26

건강식에서 뉴저지 부동산 투자까지, 뉴저지 엄마의 경제적 자유 찾기 여정 내상차림 내손으로, 내집 내손으로 — 엄마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해육아와 가사, 그리고 나 자신을 돌보는 삶 속에서'경제적 자유'라는 키워드를 진지하게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그 시작은 다름 아닌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됐습니다.✅ 건강식을 추구하던 저는건강코치와의 10번의 세션을 통해식단의 중요성과 진짜 재료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어요.그 후로는 직접 유기농 재료를 찾아 농장을 다니며,건강식을 연구하고, 베이킹 레시피 개발에 몰두했습니다.이 과정에서 플라워케이크 수업도 수료하고,오가닉 재료로 만든 베이킹과 케이크를 직접 판매하기도 했답니다.그 결과, 뉴저지 현지 잡지에 매달 쿠킹 레시피 칼럼을 연재하는 기회도 얻게 되었어요.한 걸음 한 걸음, 내가 좋아하는 일을 통해 가능성을 넓혀가는 과정이었습니.. 2025. 4. 17.
🌿🏡 버겐 바람의 속삭임 – 지브리 스타일 뉴저지 버겐카운티 부동산 리포트 (2025년 봄 에디션) 🌸🕊️ 버겐 바람의 속삭임 – 지브리 스타일 뉴저지 버겐카운티 부동산 리포트 (2025년 봄 에디션) 완만한 언덕과 조용한 골목길 사이, 버겐카운티에는 봄바람과 함께 부동산의 기류가 잔잔히 흐릅니다.그건 숲의 정령도, 검댕이들도 아니지만, 마법처럼 섬세한 변화의 조짐이에요.  이야기를 품은 마을의 집들벚꽃 아래 놓인 사랑스러운 콜로니얼 스타일 주택, 따뜻한 불빛이 새어 나오는 현대식 타운하우스, 담쟁이덩굴이 얽힌 아늑한 집들까지—버겐카운티는 집마다 이야기가 숨 쉬는 곳이에요.중간 주택 가격: 71만 5천 달러 – 봄바람을 타고 살짝씩 올라가는 연처럼, 가격이 부드럽게 상승 중입니다.시장에 머무는 평균 기간: 29일 – 검댕이들이 숨바꼭질하듯, 눈 깜짝할 사이에 팔려버려요.매물 수: 중간 수준 – 너무 적지도, .. 2025. 4. 11.
[미국 사업자 등록] 리얼터 / 공인중개사 개인 사업자 등록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려면 개인사업자로 신고해야 합니다. 국내에서는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고도 프리랜서 활동이 가능하지만, 사업자 등록을 하면 거래 상대와 거래할 때 비용 및 원가 관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개인에게는 사업자 등록이 필수적입니다. 부동산 중개업자로서 세금 목적으로 비즈니스 계좌를 개설하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일반적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체 유형 선택: 사업 계좌를 개설하기 전에 설립하려는 사업체 유형을 결정해야 합니다. 부동산 전문가를 위한 일반적인 옵션에는 개인 소유주, 파트너십, 유한 책임 회사(LLC) 또는 법인이 포함됩니다. 각 구조에는 고유한 세금 관련 사항과 법적 요구 사항이 있으므로 상황에 가장 적합한 옵션을 결정하려면 세무 자문가나 .. 2024. 4. 3.
[뉴저지 부동산] 현금증여, 가족간의 계좌이체 이장원 세무사 아파트, 집거래, -> 국세청 세무조사 1)종부세: 종합부동산세 - 세금 6% -> 3% 예정?? 2022년 11월까지 여야 다툼-> 과세표준 12억원 초과 3주택. 아직 존재. 중간세율. 작년과 세금이 그렇게 떨어지지 않는다. 2)개별주택가격 공시. 아파트 이외 부동산: 4월이후에 증여하는게 좋다. 시가로 바꼈다.- 아파트. 단지내 같은평수면 단독주택. 다가구. 다세대 개별주택: 너무 높았기때문에 2022년대 가격으로 낮추겠다. 6월 1일전에 증여하자. 3)규제완화 정책: 시장에 효과는 주고있다. 급락이 크다. 조정장을 이어가고 있다. 증여를 포인트로. 떨어졌을때 증여해야 증여세 부담이 적으니깐. 그래서 지금이 그 타이밍이 왔다라고 생각함. 2023년 5-6월. 하락폭이 있었기때문에, 그.. 2023. 10. 18.
[뉴저지부동산] 해외거주자녀 증여방법 해외 거주하는 자녀에게 증여를 고민하는 부모, 증여하실 때 꼭 기억해야 하는 내용 해외거주자녀 증여방법. 질문: 자녀는 앞으로 계속 해외에서 살 예정이고, 부모님들이 국내에 있는 돈과 재산을 증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형제가 여렀 있는데, 미국사는 막내는 나중에 한국오면 증여해주자. 1) 거주자냐, 비거주자냐. 거주자: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국내에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개인으로, 전세계소득에 대해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무제한납세의무자에 해당. 내국인과는 다른 개념으로 외국인이라 할지라도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경우 거주자에 해당. 비거주자: 국내에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 있음- 유학은 실질상 국내거주로 간주. 세법상 비거주자 요건: -1년 이상 국외거주를 통상필요로 하는.. 2023. 10. 18.
[뉴저지 부동산] 외국환거래법- 유학자금으로 해외에서 집사기 관세사에게 물어보는 질문. 유학생 계좌를 열어놓고, 외국환거래법에서 허용하는 한도이내라고 하면 남은 자금으로 부동산 구매 가능한가요? -> 그렇지 않습니다. 한도가 있다는건 당연한 얘기지만, 그 한도 내에서 사용할 목적도 동일해야 합니다. 유학 자금으로 송금했으면, 유학자금으로 사용해야지다른용도로 사용한다면 불법증여문제가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국환거래법에 대해서는 몇몇 거래에 대해서는 특정하여 신고하고, 신고한 내역에 대해 수리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해외부동산 구매" 및 "해외부동산 임차"입니다. 해외 부동산 거래는 불법 증여 문제가 함께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해외에서 부동산 취득은 한국에 신고해야합니다. 이것이 불법증여가 아닌 정당한 목적의 부동산 구매라는 것을.. 2023. 10. 18.
[뉴저지 부동산] 해외부동산 구매 매매 신고- 해외 송금 유학자금 "부동산 증여 상속" 세무사 한국에서 미국으로, 해외송금: 얼마까지 신고를 해야하나요? -그냥 보낼수 있는 금액 5만불 (10만불로 올린다는 얘기가 있음) 예) 해외로 10억을 송금해서 해외 부동산 구매/취득을 하는경우? - 한국은행에 신고를 하고 나가야 한다. '부동산 취득하는 자금이라는 신고' - 부동산을 산다는 계약서도 명세를 보고하게 되어있다. Case) 캐나다, 미국, 북미쪽 임대가 잘 나가니 취득후 임대를 했다. 임대 수익 발생했다. - 임대 수익 발생되는 경우 임대 수익에 대해서 신고해야 한다. - 캐나다에도 세금을 내고, 국내(한국)에서도 세금을 또 낸다.- 이중과세 적용: 캐나다에서 낸 것은 한국에서 빼주는 제도가 있다. - 해외거주하며 계좌가 있거나, 해외부동산 있는경우 국내 국세청에 .. 2023. 10. 17.
[뉴저지 부동산] 수수료 최대 6%까지 챙기는 부동산 중개인, 독점금지법 조사 미국 주거용 주택 시장의 중심에 있는 수익성이 좋은 브로커 커미션 시스템은 법무부의 전례 없는 독점 금지 조사와 업계의 강력한 로비 그룹인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는 두 건의 민간 집단소송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연방 독점금지 집행관들은 수년간의 조사 끝에 자체 사건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법무부는 일반적으로 주택 판매자가 판매 금액의 5~6%를 대리인과 구매자의 대리인이 나누어 삭감하도록 하는 부동산 수수료 공유 시스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여러 목록 서비스에 대한 협회의 통제에 의해 유지되는 미국 고유의 구조입니다. 이는 특정 지역에서 판매 가능한.. 2023. 10. 17.
한국에서 송금해서 미국 부동산 구매 방법. 한국에서 미국 집사기 한국에서 부동산 처분/ 또는 현금으로 미국 유학중인 자녀의 렌트비를 내는 대신, 집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환관리법상 해외송금을 위해 1) 외국환은행에 취득전 신고 2)취득후 3개월 내에 해외 부동산 취득 보고를 해야합니다. 5월에 실시되는 세법상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해외 부동산 취득 및 투자운용 명세서를 제출하여 신고하면 됩니다.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신고 납부합니다. 만약 주거용 부동산이 아닌 임대수익을 위해 구입된 부동산의 경우, 현지인과 마찬가지로 연방 세금보고를 통해 납부를 해야합니다. 세액은 소득구간에 따라 10%~ 37%를 누진적으로 납부합니다. 세금보고를 위해서는 미국 국세청에 비거주자용 납세자 번호인 ITIN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W8-EIC라는 IR.. 2023. 10. 17.
[뉴저지부동산] 좋은동네 찾기- 한국 사회안전지수 정량지표 참고 2023. 9. 21.
[미국 부동산] How to buy a house in 2023, 2023년에 집을 사는 방법 총정리 올해는 부동산 역사에 교정의 해로 기록될 수도 있다. 입찰 전쟁, 재고 부족, 전국적으로 치솟는 가격 등 전염병으로 촉발된 판매자에게 이익이 되는 붐 이후 주택 시장은 2022년에 냉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빠르게 상승하는 이자율의 영향으로 구매자의 관심이 약화되었습니다. 판매가 둔화되고 가격 상승도 둔화됩니다. 하지만 이제 2023년 말에 가까워지면서 인플레이션은 훨씬 낮아지지만 주택 가격과 모기지 금리는 모두 하늘을 찌를 정도로 높습니다. 이 모든 것이 2023년을 전환기의 해로 만들었습니다. 지속적인 주택 부족으로 인해 판매자는 여전히 많은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누구도 극적인 주택 시장 붕괴를 예상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석가들은 보다 균형 잡힌 시장으로의 전환이.. 2023. 9. 9.
[미국 부동산] 10억짜리 집 복비가 6000만원…美서 공인중개사로 산다는 것 [최진석의 실리콘밸리 스토리] 출처: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7313667i 10억짜리 집 복비가 6000만원…美서 공인중개사로 산다는 것 [최진석의 실리콘밸리 스토리] 10억짜리 집 복비가 6000만원…美서 공인중개사로 산다는 것 [최진석의 실리콘밸리 스토리], 최진석 기자, 부동산 www.hankyung.com ‘집값’과 ‘부동산 경기’는 어느 국가, 어느 도시에서나 관심을 끄는 주요 이슈입니다. 미국도 예외가 아닙니다. 특히 미국 서부에선 실리콘밸리 집값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 실리콘밸리에서 괜찮은 집 한 채를 갖고 있으면 백만장자입니다. 마치 서울 좋은 동네에 아파트 한 채 가진 것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와 달리 샌프란시스코와 주변의 상업용 부동산은.. 2023. 8. 1.